• 최종편집 2024-05-05(일)
 

[편집자주] 지난 5월 15일과 16일 동학 2대 교주 해월 최시형선생이 화전민으로 살았던 포항 신광면 검곡에서 동학 창시자 수운 최제우선생이 득도했던 경주 현곡면 가정리 용담정까지 도보순례에 함께 했다. 16일은 음력 4월 5일, 수운선생이 1860년 득도했던 날이다. 이번 도보순례는 수운살기(Living with Soowoon) 박동산대표가 기획하고 주관했다.

[동학을 걷는다. 검곡에서 용담까지] 4회에 걸쳐 연재한다. ① 검곡가는 길, ‘상마북저수지’에서 바라보다 ② ‘해월 최시형 선생님 말씀’, 신광면 만석삼거리 돌에 새겨 ③ 해월선생이 수운선생을 찾아간 ‘극적인 만남’ ④ 용담정까지 ·· 힘들었어도 끝까지 걸었다!

 

4용담정As.jpg
[출처: 네이버 지도. 그래픽: 강정환] ⓒ통통미디어



  

국도를 따라 걷다가 때론 형산강을 끼고 걸었다. 발가락이 아파도 약간 절뚝거리면서 걷고 또 걸었다. 경주 현곡면 금장리 아파트단지를 지나 용담로와 만났다. 용담로를 따라서 계속 걸어가면 된다. 버스를 타려는 유혹도 있었으나, 힘은 들었지만 걷는 것을 포기하지 않았다. 

 

1s.jpg
경주시 근로자종합복지관 입구를 지나고 있다 ⓒ통통미디어

 

경주시 근로자종합복지관을 지나 현곡초등학교 못 미쳐 지하도로를 지났다. 용담로 좌측에 사람이 다니는 인도(人道)가 있어서 안심하고 편하게 걸을 수 있었다. 이런 세심한 행정은 칭찬받아 마땅하다. 인도없는 국도를 걷으면서, ‘인도(人道)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이 간절했다. 


3-1s.jpg
가정3리 입구 도로 우측 풍경 ⓒ통통미디어

 

가정리 경주디자인고등학교를 지나자 비가 다시 내리기 시작했다. 가정3리 입구 도로 우측에 물안개가 자욱한 어림산(510.4m) 자락에 낮은 봉우리가 끝없이 이어졌다. 마치 꼬리 아홉 개가 겹쳐지듯이 말이다. 용담정이 있는 구미산(九尾山 594.3m)이 바로 이런 모습을 담았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4s.jpg
가정3리 버스정류장까지 걸어왔다 ⓒ통통미디어

 

6s.jpg
구미산 계곡을 걸어서 다리 건너 용담정이 보인다 ⓒ통통미디어

 

오후 3시 못 돼서 드디어 가정3리 버스정류장까지 왔다. 근처 식당에서 점심 겸 저녁으로 식사를 마치고 다시 구미산 계곡을 따라 걸었다. 10분 이상 빗 속을 걸은 끝에 다리 건너 용담정이 보였다. 깊고 깊은 계곡 안에 단정하게 자리잡은 용담정이었다.

 

7s.jpg
용담정 우측 계곡에선 세차게 물이 떨어지고 있었다 ⓒ통통미디어

 

용담정 우측 계곡에선 콸콸콸콸 세차게 물이 쉬지않고 떨어졌다. 구미산 계곡이 품었던 물이 흘러 흘러 형산강과 만나, 포항과 경주를 양 팔로 감싸 안고서 드넓은 동해 바다로 흘러가리라.

 

검곡에 사는 해월선생은 수운선생을 만나기 위해 이렇듯 먼 거리를 마다하지 않고 걸었고, 수운선생 가르침을 받고 용담에서 검곡 집까지 걸어갔다. 스승님 가르침을 받고자 간절한 마음에서 먼 길을 걷고 또 걸었던 것이다.

 

‘해월선생은 수운선생을 만나기 위해, 무슨 생각을 하고 무엇을 하면서 걸었을까? 또 수운선생 가르침을 받고서, 해월선생은 기쁜 마음으로 무슨 생각을 담고 무엇을 다짐하면서 집을 향해 걸었을까?’

 

8s.jpg
용담정 우측 계곡에서 떨어지고 있는 물줄기를 가까이서 바라보다 ⓒ통통미디어

 

이번 도보순례에서 내 한 걸음 한 걸음이야말로 머릿 속 생각이 아닌 실천하는 첫 단추가 되었다.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속담처럼, 말이나 머릿 속 생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실천하는 작은 행동 하나 하나가 소중하다는 점을 배웠다.

 

오후 5시 택시로 신경주역을 향했고, 오후 7시 10분 서울행 KTX에 고단한 몸을 기댔다. 비가 여전히 내리고 있었다.

 

전체댓글 0

  • 9200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동학을 걷는다. 검곡에서 용담까지] ④ 용담정까지 ·· 힘들었어도 끝까지 걸었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